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Search

CLOSE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 Volume 19(4); 2019 > Article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가 과증식 위용종을 소실시킬 수 있는가?
Article: Change in size of gastric hyperplastic polyps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 prospective study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9 2019;19:236-244)
과증식 위용종은 위용종 중 가장 흔하며 대부분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과 관련이 있다[1]. 크기가 1 cm를 초과하는 과증식 위용종의 경우 악성 변화의 가능성이 있고[2] 출혈로 인한 철결핍성 빈혈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내시경 절제술이 권장되고 있다[3,4]. 하지만 1 cm 이하의 작은 과증식 위용종의 치료에 대해서는 정립된 개념이 없다. 일반적으로 작은 과증식 위용종은 조직검사를 바탕으로 단순히 내시경 추적 관찰을 하거나 H. pylori 제균 치료 후 과증식 위용종이 소실된다는 결과들을 바탕으로[5,6] H. pylori 제균 치료 후 추적 관찰을 하기도 한다.
과증식 위용종의 경우 성공적인 H. pylori 제균 치료 후에 크기가 작아지고 일부에서는 위용종이 사라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관찰 연구는 많지 않으며 대부분 적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의 연구에서는 H. pylori 제균 치료군에서 과증식 위용종의 소실률을 68~85% 정도로 보고하고 있다[5-9]. 일본 H. pylori 치료 가이드라인[10] 및 영국의 위용종 치료 가이드라인[11]에서는 과증식 위용종 환자에서 H. pylori 제균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연구는 대부분 후향적 연구여서 아직 근거는 부족한 편이다. Lim 등[12]은 H. pylori 제균 치료군에서 과증식 위용종의 소실률이 더 높으며(42.5% vs. 22.2%, P<0.05), H. pylori 제균 치료가 과증식 위용종 소실의 유의한 예측인자임을 보고하였다. 건강검진 환자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다른 한 연구에서도 H. pylori 제균 치료가 과증식 위용종의 소실과 유의한 연관이 있음을 보고하였지만(85.0% vs. 29.0%, P=0.001),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단점이 있다[13]. 국가 암 검진 코호트에서 추출한 183명의 H. pylori 양성 과증식 위용종 환자의 추적 관찰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H. pylori 제균 치료군에서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과증식 위용종 소실률이 유의하게 높았다(83.7% vs. 34.1%, P=0.001) [14].
이번 호에서 Yoo 등[15]은 H. pylori 양성인 과증식 위용종 환자를 H. pylori 제균 치료군과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H. pylori 제균 치료가 성공한 17명의 환자 중 12명(70.8%)에서 과증식 위용종이 완전 소실되거나(4명) 용종의 크기가 50% 이상 작아진(8명) 반면,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8명 중에서는 2명(25%)만이 과증식 위용종의 소실을 보였다. H. pylori 제균 치료군에서 과증식 위용종 소실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다변수 분석에서는 H. pylori 제균 치료(OR, 40.047; 95% CI, 1.112~1442.767)와 여성(OR, 12.947; 95% CI, 1.038~161.503)이 과증식 위용종 소실의 유의한 예측인자였지만 위용종의 크기나 개수 그리고 환자의 나이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작은 과증식 위용종이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도 저절로 크기가 작아지거나 없어진다는 보고도 있다[8,13]. 하지만 이들 연구에서 66~70%의 과증식 위용종은 2년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여전히 남아 있었다[8,13]. 이번 연구에서도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2명의 환자에서 추적 내시경 관찰 시 과증식 위용종이 완전히 소실되었는데, 이에 대한 원인 및 기전은 추가 연구를 통하여 밝혀야 하겠다.
치료에 대한 이득이 가이드라인으로 정립되려면 잘 계획된 대규모의 무작위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시행된 H. pylori 제균 치료 후 과증식 위용종의 소실에 대한 대규모 무작위 연구는 없으며, 현재까지 진행된 국내 연구는 대부분 후향적 연구여서 그 근거수준은 낮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H. pylori 제균 치료 후 과증식 위용종의 소실에 대한 연구를 무작위 연구로 진행하기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유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단순 경과 관찰만 하는 것을 거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비록 대상 환자의 수가 25명으로 적었고, 무작위 배정을 하지 못하였으며, 추적 내시경 관찰 시 H. pylori 재감염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지 않아 재감염이 용종의 크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하지 못한 단점이 있긴 하지만 이번 Yoo 등[15]의 연구는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향후 H. pylori 제균 치료 가이드라인에 과증식 위용종 환자를 포함시키는 근거의 바탕이 될 수 있겠다.
현재까지의 근거로는 H. pylori 제균 치료는 과증식 위용종의 크기 감소 혹은 소실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크기가 1 cm 미만인 다발성 과증식 위용종의 경우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치료가 될 수 있겠다. 하지만 일부 과증식 위용종은 위암으로 변할 수 있고, H. pylori 제균 치료로 모든 과증식 위용종이 소실되는 것은 아니며, H. pylori 제균 치료 후 재발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미하기 때문에 H. pylori 제균 치료 후 과증식 위용종의 소실과 재발 여부에 대한 장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향후 학회 또는 국가기관 주관의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이루어져 우리나라 H. pylori 치료 가이드라인 및 보험급여 기준에 H. pylori 양성인 과증식 위용종 환자가 포함되는 것을 기대해본다.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Horvath B, Pai RK.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 gastric hyperplastic polyps. Int J Surg Pathol 2016;24:704–708.
crossref pmid
2. Daibo M, Itabashi M, Hirota T.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astric hyperplastic polyps. Am J Gastroenterol 1987;82:1016–1025.
pmid
3. Ahn JY, Son DH, Choi KD, et al. Neoplasms arising in large gastric hyperplastic polyps: endoscopic and pathologic features. Gastrointest Endosc 2014;80:1005–1013; e2.
crossref pmid
4. Anjiki H, Mukaisho KI, Kadomoto Y, et al. Adenocarcinoma arising in multiple hyperplastic polyps in a patient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hypergastrinemia during long-term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Clin J Gastroenterol 2017;10:128–136.
crossref pmid pdf
5. Kume K, Hirakoba M, Murata I, Yoshikawa I, Otsuki M. Disappearance of both MALT lymphoma and hyperplastic polyps in the stomach after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Am J Gastroenterol 2001;96:2796–2797.
crossref pmid
6. Suzuki S, Ohkusa T, Shimoi K, Horiuchi T, Fujiki K, Takashimizu I. Disappearance of multiple hyperplastic polyps after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Gastrointest Endosc 1997;46:566–568.
crossref pmid
7. Ohkusa T, Takashimizu I, Fujiki K, et al. Disappearance of hyperplastic polyps in the stomach after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nn Intern Med 1998;129:712–715.
crossref pmid
8. Ohkusa T, Miwa H, Hojo M, et al. Endoscopic, histological and serologic findings of gastric hyperplastic polyps after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 comparison between responder and non-responder cases. Digestion 2003;68:57–62.
crossref pmid
9. Ji F, Wang ZW, Ning JW, Wang QY, Chen JY, Li YM. Effect of drug treatment on hyperplastic gastric polyps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orld J Gastroenterol 2006;12:1770–1773.
crossref pmid pmc
10. Asaka M, Kato M, Takahashi S,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Japan: 2009 revised edition. Helicobacter 2010;15:1–20.
crossref
11. Goddard AF, Badreldin R, Pritchard DM, Walker MM, Warren B.;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The management of gastric polyps. Gut 2010;59:1270–1276.
crossref pmid
12. Lim SA, Yun JW, Yoon D, et al. Regression of hyperplastic gastric polyp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11;42:74–82.

13. Nam SY, Park BJ, Ryu KH, Nam JH.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ts eradication on the fate of gastric polyps.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16;28:449–454.
crossref pmid
14. Nam SY, Park BJ, Ryu KH, Nam JH.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on the regression of gastric polyps in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Korean J Intern Med 2018;33:506–511.
crossref pmid pdf
15. Yoo AY, Park JJ, Joo MK, Lee BJ, Chun HJ, Lee SW. Change in size of gastric hyperplastic polyps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 prospective study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9. doi: 10.7704/kjhugr.2019.0004. [Epub ahead of print].



Editorial Office
Lotte Gold Rose II Room 917, 31 Seolleung-ro 86-gil, Gangnam-gu, Seoul 06193, Korea
Tel: +82-2-717-5543    Fax: +82-2-565-9947    E-mail: kjhugr@kams.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