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62세 여자가 건강검진에서 실시한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결절로 내원하였다. 기저 질환이나 사회력 및 가족력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신체 검사에서도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검진으로 시행한 가슴 X선 검사와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이상 소견은 없었으며, 갑상샘 기능 검사는 T3 132.7 ng/dL, free T4 1.18 ng/dL, thyroid stimulating hormone 1.60 uIU/mL로 정상이었다. 본원에서 시행한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갑상샘의 좌상엽에 약 1.3 cm × 1.2 cm 크기의 결절이 관찰되었으며(
Fig. 1), 이에 대해 세침흡인 검사를 시행하였다. 세포 검사에서 다수의 편평세포(squamous cell) 외에 특이 소견은 없었다(
Fig. 2).
다음에 시행할 적절한 검사와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해설: 세포 검사에서 다수의 편평세포가 관찰되었음을 토대로 식도 병변 의심 하에 식도조영술과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계획하였다. 식도조영술에서 바륨이 상부식도의 전방, 좌측으로 돌출되는 작은 게실이 관찰되었다(
Fig. 3).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시에는 상부식도를 잘 관찰하기 위해 캡을 부착한 뒤 시행하였으며, 상부식도조임근 직하방의 상부식도의 좌측벽에 음식물이 고여 있는 게실이 관찰되었다(
Fig. 4). 상기 소견을 토대로 Killian-Jamieson 게실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게실 내 음식물의 저류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는 구취 증상이 있었지만, 삼킴곤란, 구토, 기침과 같은 증상이 없어 현재 경과 관찰 중이다.
Killian-Jamieson 게실은 윤상인두근과 세로식도근 사이의 취약부위에서 경부식도 전외측으로 돌출되어 생기는 매우 드문 게실로, 종종 Zenker 게실과 혼동되기 쉽다(
Fig. 5A) [
1]. 식도조영술과 내시경 검사 시 Zenker 게실은 식도 후벽측에서, Killian-Jamieson 게실은 식도 전외측에서 관찰되는 것이 감별점이다(
Fig. 5B). 상부식도 게실은 갑상샘 후방에 인접해 있어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종종 갑상샘 결절로 오인되기가 쉬우며, 본 증례와 같이 내부에 고에코 부분을 가지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저에코 병변으로 관찰된다[
2]. 내시경 검사 시 세심하게 관찰하지 않으면 상부식도조임근 주위의 게실을 놓칠 수 있는데, 본 증례에서도 타 병원에서 실시한 검진 내시경 검사에서는 게실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경우 치료내시경에 사용되는 캡을 부착하여 검사를 시행하면 비교적 안정적으로 상부식도조임근과 상부식도를 잘 관찰할 수 있어 작은 게실뿐만 아니라 종양도 놓치지 않고 검사가 가능하다.
Killian-Jamieson 게실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견되며, 보통 게실의 크기가 2.5 cm 이상이면 삼킴곤란, 역류, 인두구, 기침, 쉰 목소리, 구취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3]. 증상이 있는 경우 외과적 게실절제술이 표준 치료로 시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내시경적 중격절개술(endoscopic septostomy)의 유용성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3].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 1.
Thyroid ultrasonography shows a hypoechoic nodule approximately 1.3 cm in size in the left upper lobe of the thyroid gland (arrow).
Fig. 2.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for the thyroid nodule reveals an abundance of squamous cells and no follicular cells (Papanicolaou stain, ×100).
Fig. 3.
(A, B) Esophagography shows a barium-filled sac protruding from the left anterolateral wall of the upper esophagus (arrows).
Fig. 4.
Endoscopy shows an outpouching diverticulum containing food material at the upper esophagus below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
Fig. 5.
Comparison of Killian-Jamieson diverticulum and Zenker's diverticulum. (A) Location of two diverticula on the posterior view of hypopharynx. (B) Location of two diverticula during endoscopy.
REFERENCES
1. Zanwar VG, Gambhire PA, Choksey AS, Rathi PM. Killian-Jamieson diverticulum: cervical oesophageal diverticulum. J Assoc Physicians India 2015;63:65–66.
2. Mercer D, Blachar A, Khafif A, Weiss J, Kessler A. Real-time sonography of Killian-Jamieson diverticulum and its differentiation from thyroid nodules. J Ultrasound Med 2005;24:557–560.
3. Haddad N, Agarwal P, Levi JR, Tracy JC, Tracy LF.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Killian Jamieson diverticulum: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n Otol Rhinol Laryngol 2020;129:394–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