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Helicobacter pylori (
H. pylori) 제균 치료를 위해서는 그 지역의 제균 치료 성적 및 항생제 내성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성공적인 제균 치료를 위해서는 intention-to-treat 분석에서 80% 이상, per-protocol 분석에서 90% 이상의 제균율을 얻을 수 있는 제균 요법이 처방되어야 한다[
1]. 이러한 이유로 Maastricht V 가이드라인에서는 clarithromycin 내성이 15%를 초과하는 지역에서는 경험적 표준 삼제요법을 1차 치료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2].
2017~2018년에 시행된 전국 규모의 항생제 내성 연구에서는 clarithromycin, metronidazole, amoxicillin, tetracycline, levofloxacin, ciprofloxacin 내성률을 각각 17.8%, 29.5%, 9.5%, 0%, 37.0%, 37.0%로 보고하였다[
3]. 이러한
H. pylori 내성률은 지역적 차이를 보이는데, 현재까지 발표된 각 지역의 항생제 내성률 결과를
Tables 1,
2에 요약하였다[
4,
5].
강원지역의 표준 삼제요법 제균율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80% 이상으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6], 10년간의 평균 제균율은 86.2%였다[
6,
7]. 하지만,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한 제균 치료 온라인 레지스트리 연구에서 강원지역의 표준 삼제요법 제균율은 68%로 감소하였다[
8]. 2008년 시행한 경기, 강원, 부산지역의 항생제 내성률 비교 분석 연구를 보면 clarithromycin 내성률은 경기에서 32.5%, 부산에서 26.3%로 높았으나 강원지역에서는 12.5%로 낮았다[
9]. 전국 규모의 항생제 내성 연구에서 전체 clarithromycin 내성률은 17.8%였으며 강원지역도 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3]. 하지만 이 연구들에서 영동지역의 자료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강원 영동지역에 국한된 제균 치료 연구는 1997년에서 1998년 사이에 시행된 연구가 유일하며, 당시 표준 삼제요법의 제균율은 84.1%였다[
10]. 이에 이번 호에서 Gong 등[
11]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강원 영동지역의 1차 표준 삼제요법의 제균율을 조사하였고, 64.0%로 만족할 만한 결과가 아님을 보고하였다. 이는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표준 삼제요법의 제균율 감소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H. pylori 항생제 내성은 제균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데, 그중에서도 clarithromycin 내성이
H. pylori 제균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10년 동안
H. pylori의 clarithromycin 내성률은 점차적으로 증가해왔으며, 최근 논문들에서 국내의 clarithromycin 내성률은 17.8~31.0%로 보고되고 있다[
12]. 이번 연구에서는 제균 치료 실패와 관련된 인자에 대해서도 분석을 하였는데, 다변량 분석 결과 90% 미만의 복약 순응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 실패 인자로 확인되었다(OR, 8.951; 95% CI, 1.058~75.743;
P=0.044). 항생제는 적절한 기간 동안 적절한 용량이 투여되어야 최대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복약 순응도 저하는 제균 실패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13]. 하지만 3가지의 약을 동시에 복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부작용도 종종 나타나기 때문에 복약 순응도가 떨어지기 쉽다. Graham과 Fischbach [
14]는 12% 정도의 환자가 부작용으로 인해 복약을 중단한다고 보고하였다. 복약 순응도가 80% 미만일 경우에는 제균 실패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또한 이에 따른 항생제 내성 발생도 높아진다[
15].
이번 연구에서는 clarithromycin 내성에 대한 검사는 수행되지 않아 강원 영동지역의 항생제 내성 현황에 대해서는 알기 어렵다. 다만, 최근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20% 전후 정도로 추정할 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최근 임상진료지침[
14]의 권고대로 중합효소연쇄반응 또는 염기서열법을 이용한 clarithromycin 내성 검사를 통한 맞춤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제균율을 높일 수 있다. 즉, 7일 제균 요법을 고려할 때는 clarithromycin 내성 검사를 시행하고, 내성이 없는 환자에게 표준 삼제요법을, 내성이 있을 경우 비스무스 사제요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
16].
비록 단일 기관의 후향적 연구라는 단점이 있지만 64%라는 영동지역의 불충분한 표준 삼제요법 제균 치료 성적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의미는 크다고 생각된다. 경험적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할 때는 지역의 1차 제균 치료 성적을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불충분한 표준 삼제요법 제균율을 높이기 위해 14일로 치료 기간을 연장, 10일 순차 혹은 동시 치료 사용, 또는 적극적인 내성 검사를 통한 맞춤 제균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향후 지역적 차원에서 제균율 감소를 뒷받침하는 체계적인 내성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Summary of Antibiotic Resistance Rates for Helicobacter pylori in Korea: Seoul, Incheon.
|
Seoul
|
Incheon
|
1987 (n=34) |
1994 (n=36) |
1994 (n=63) |
1995 (n=130) |
1996 (n=129) |
1997 (n=69) |
1998~1999 (n=65) |
2003 (n=65) |
2004 (n=88) |
2007 (n=100) |
2010 (n=47) |
2005~2010 (n=212) |
2010~2011 (n=159) |
Amoxicillin (%) |
0.0 |
5.6 |
0.0 |
0.0 |
0.0 |
0.0 |
0.0 |
18.5 |
- |
5.0 |
10.6 |
9.0 |
3.2 |
Clarithromycin (%) |
0.0 |
2.8 |
4.8 |
4.6 |
3.9 |
11.6 |
7.7 |
13.8 |
10.2 |
11.0 |
14.8 |
8.5 |
18.2 |
Metronidazole (%) |
52.9 |
61.1 |
33.3 |
38.5 |
42.6 |
40.6 |
47.7 |
66.2 |
35.2 |
21.0 |
31.9 |
36.3 |
41.9 |
Tetracycline (%) |
5.9 |
0.0 |
3.0 |
6.9 |
4.7 |
2.9 |
7.7 |
12.3 |
0.0 |
0.0 |
0.0 |
0.0 |
3.2 |
Ciprofloxacin (%) |
0.0 |
13.9 |
- |
- |
- |
- |
- |
33.8 |
15.9 |
17.0 |
- |
- |
- |
Levofloxacin (%) |
0.0 |
0.0 |
- |
- |
- |
- |
- |
21.5 |
- |
- |
17.0 |
14.2 |
36.5 |
Moxifloxacin (%) |
0.0 |
0.0 |
- |
- |
- |
- |
- |
21.5 |
- |
- |
- |
- |
- |
Table 2.
Summary of Antibiotic Resistance Rates for Helicobacter pylori in Korea: Gyeonggi, Daejeon, Kangwon, Busan, Gwangju, and Gyeongnam
|
Gyeonggi (Bundang)
|
Gyeonggi (Yongin)
|
Daejeon
|
Kangwon
|
Busan
|
Gwangju
|
Gyeong nam (Jinju)
|
2003~2005 (n=69) |
2006~2008 (n=202) |
2009~2013 (n=204) |
2015~2016 (n=71) |
2017~2018 (n=37) |
2009~2010 (n=71) |
2011~2012 (n=94) |
2004 (n=31) |
2008 (n=40) |
2008 (n=19) |
2008~2009 (n=51) |
2011~2012 (n=114) |
1995~1999 (n=47) |
Amoxicillin (%) |
7.2 |
7.4 |
17.2 |
5.6 |
8.1 |
2.8 |
2.1 |
7.4 |
10.0 |
9.1 |
1.9 |
9.6 |
12.8 |
Clarithromycin (%) |
23.2 |
27.2 |
37.3 |
43.7 |
45.9 |
7.0 |
16.0 |
3.6 |
12.5 |
26.3 |
15.7 |
24.6 |
6.4 |
Metronidazole (%) |
34.8 |
23.8 |
35.8 |
36.6 |
43.2 |
45.1 |
56.3 |
25.8 |
10.0 |
19.2 |
21.6 |
46.5 |
21.3 |
Tetracycline (%) |
8.7 |
11.9 |
10.8 |
12.7 |
16.2 |
0.0 |
0.0 |
- |
7.5 |
15.2 |
0.0 |
2.6 |
12.8 |
Ciprofloxacin (%) |
17.4 |
29.7 |
39.2 |
- |
- |
- |
- |
- |
22.5 |
30.0 |
25.5 |
- |
- |
Levofloxacin (%) |
5.8 |
23.3 |
37.7 |
40.8 |
62.2 |
26.8 |
22.3 |
- |
22.5 |
23.2 |
25.5 |
36.8 |
6.4 |
Moxifloxacin (%) |
5.8 |
23.3 |
37.3 |
- |
- |
- |
- |
- |
22.5 |
23.2 |
- |
- |
- |
REFERENCES
1. Graham DY, Lu H, Yamaoka Y. A report card to grade
Helicobacter pylori therapy. Helicobacter 2007;12:275–278.
2. Malfertheiner P, Megraud F, O'Morain CA, et al. Ma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the Maastricht V/Florence consensus report. Gut 2017;66:6–30.
3. Lee JH, Ahn JY, Choi KD, et al. Nationwide antibiotic resistance mapping of
Helicobacter pylori in Korea: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Helicobacter 2019;24:e12592.
4. Lee JY, Kim N. Future trends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2014;63:158–170.
5. Gong EJ, Ahn JY. Antimicrobial resistance of
Helicobacter pylori isolates in Korea.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8;18:82–88.
6. Yoon JH, Baik GH, Sohn KM, et al. Trends in the eradication rate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for eleven years. World J Gastroenterol 2012;18:6628–6634.
7. Shin WG, Lee SW, Baik GH, et al. Eradication rates of
Helicobacter pylori in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and correlation of the amount of antibiotics use: nationwide survey. Helicobacter 2016;21:266–278.
9. Kim JY, Kim NY, Kim SJ, et al. Regional differ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of helicobacter pylori strains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221–229.
10. Oh MK, Choi WS, Lee YB, Chung HR, Kang GH, Kim JS. The effect of smoking on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J Korean Acad Fam Med 1999;20:991–999.
11. Gong EJ, Bang CS, Seo M, et al. Eradication rate using a first-line triple therapy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Yeongdong, Gangwon province, Korea.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2;22:139–145.
12. Lee JW, Kim N, Nam RH, et al. Favorable outcomes of culture-based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a region with high antimicrobial resistance. Helicobacter 2019;24:e12561.
13. De Francesco V, Ierardi E, Hassan C, Zullo A.
Helicobacter pylori therapy: present and future. World J Gastrointest Pharmacol Ther 2012;3:68–73.
14. Graham DY, Fischbach L.
Helicobacter pylori treatment in the era of increasing antibiotic resistance. Gut 2010;59:1143–1153.
15. Vakil N, Vaira D. Treatment for
H. pylori infection: new challenges with antimicrobial resistance. J Clin Gastroenterol 2013;47:383–388.
16. Jung HK, Kang SJ, Lee YC,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2020 revised edition.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0;20:261–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