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니실린 알러지가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자의 초치료에서 보노프라잔-테트라사이클린 2제 요법의 효능

Efficacy of Vonoprazan-Tetracycline Dual Therapy in the Initial Treatment of Penicillin-Allergic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4;24(4):391-39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December 4
doi : https://doi.org/10.7704/kjhugr.2024.0062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cheon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최영희orcid_icon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Corresponding author Younghee Choe, M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cheon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56 Dongsu-ro, Bupyeong-gu, Incheon 21431, Korea E-mail: ychoe@catholic.ac.kr
Received 2024 September 23; Revised 2024 November 1; Accepted 2024 November 4.

요 약

본 연구는 페니실린 알러지가 있는 환자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대한 1차 치료로서 보노프라잔-테트라사이클린 2제 요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향적 단일기관 개방형 비열등성 무작위대조군 연구(prospective, single center, open-label, non-inferior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이다[1], 300명을 대상으로 보노프라잔-테트라사이클린 2제 요법(VT, vonoprazan 20 mg, 1일 2회+tetracycline 500 mg, 1일 3회)과 비스무스 4제 요법(BQT, lansoprazole 30 mg, 1일 2회+bismuth 150 mg, 1일 3회+metronidazole 400 mg, 1일 3회+tetracycline 500 mg, 1일 3회)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VT 2제와 BQT의 제균율은 intention-to-treat (ITT) 분석에서 92%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 86%-96%) vs. 89% (95% CI, 83%-94%; p=0.56), per-protocol (PP) 분석에서 95% (95% CI, 90%-98%) vs. 98% (95% CI, 93%-99%, p=0.2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비열등성이 확인되었다(p-value for inferiority, p< 0.001 in ITT analysis and p=0.001 in PP analysis). 치료로 인한 부작용은 VT 2제에서 유의하게 더 낮음을 보여주어, 헬리코박터 감염에 대한 1차 치료법으로서 BQT에 비하여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페니실린 알러지 환자에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PCAB) 기반 2제 요법을 더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해 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제균치료는 위암 예방을 목적으로 시행한다. 최근에는 헬리코박터 감염도 다른 감염성질환에서처럼 인식하여 항생제에 대한 관리 개념을 적용하자는 경향이 있다[2]. 되도록이면 경험적 항생제보다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토대로 처방하는 것이 원칙이나, 임상에서는 어려운 면이 있어 그 지역의 내성률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2제 요법은 아목시실린을 포함한 요법이 주로 사용되었다[3-5]. 아목시실린은 내성률은 낮으나, 페니실린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연구는 페니실린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서 VT와 BQT에 대한 효능과 안전성을 비교한 무작위대조 비열등성 시험이다.

3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으로, 연구는 페니실린 알러지가 있는 헬리코박터 감염 초치료 대상의 18-70세 사이의 성인 환자에서 BQT에 비하여 VT 2제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는 양성 13C-요소호기검사로 확인하였다. 실험군인 VT 2제는 보노프라잔 20 mg을 하루 2회(20 mg/정)와 테트라사이클린 500 mg을하루 3회(250 mg/정) 총 14일간 복용하였고, 대조군은 BQT군으로 란소프라졸 30 mg을 하루 2회(30 mg/정), 콜로이드비스무트 150 mg을 하루 3회, 테트라사이클린 500 mg을 하루 3회(250 mg/정)와 메트로니다졸 400 mg을 하루 3회 복용하였다. 보노프라잔, 란소프라졸, 비스무트는 식사 30분 전에, 테트라사이클린과 메트로니다졸은 식사 직후에 복용하였고, 생성난수 시퀀스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1차 종결점(primary outcome)은 약 복용을 시작한지 8주 후 요소호기검사를 통하여 확인된 제균성공률이다. 2차 종결점(secondary outcome)은 부작용의 발생빈도와 심각성의 정도였다. 심각도는 4단계로 나누었고, 전체 약의 80% 미만을 복용한 경우에는 순응도가 나쁘다고 기록하였다. ITT 분석은 수집된 모든 환자가 포함된 것이고, modified ITT (mITT) 분석은 최소 1회 이상 약물을 복용한 환자들이 모두 포함되었고, PP 분석은 약물의 80% 이상을 복용하고 추적 관찰을 완료한 환자로 정의하였다.

VT 2제와 BQT의 제균율은 ITT 분석에서 92.0% (95% CI, 86.1%-95.6%) vs. 89.3% (95% CI, 83.0%-93.6%; p=0.56)였고, mITT 분석에서 94.5% (95% CI, 89.1%-97.4%) vs. 93.1% (95% CI, 87.3%-96.4%; p=0.78)였다. 또한 PP 분석에서 95.1% (95% CI, 89.7%-97.8%) vs. 97.7% (95% CI, 92.9%-99.4%; p=0.2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각각 비열등성이 확인되었다(p-value for inferiority, p<0.001 in ITT analysis, p<0.001 in mITT analysis, and p=0.001 in PP analysis, respectively) (Table 1).

Comparison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rates of bismuth quadruple therapy and vonoprazan-tetracycline dual therapy

치료로 인한 부작용은 VT 2제에서 14.0%, BQT에서 48%를 보이며 VT 그룹에서 유의하게 전반적으로 더 낮았고(p<0.001), 중증 합병증도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01). BQT에서 가장 흔한 부작용은 메스꺼움이나 어지럼증, 쓴 맛 등이 있었고, VT 그룹에서는 메스꺼움, 피부발진 등이 있었다.

이 연구는 페니실린 알러지가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초치료 환자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의미가 있다. 2024년 ACG 가이드라인에서는 여전히 가장 추천되는 치료로 BQT를 권고하고 있다(Table 2) [6]. 또한 치료경험이 없는 환자에서 PCAB-아목시실린 2제 요법을 사용하는 것을 처음으로 제안하고 있는데, PCAB가 양성자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에 비해 더 강한 위산 억제 작용으로 제균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7].

Eradication regimens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recommended in recent guidelines

그러나 페니실린 알러지나 세팔로스포린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여전히 BQT를 복용해야 한다.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계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베타-락탐계를 갖고 있어 세팔로스포린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교차반응(cross-reactivity)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BQT의 대안으로서 연구결과가 많이 보고된 보노프라잔-아목시실린 제제를 세팔로스포린 알러지가 있는 사람에게도 처방하기 어렵다.

메트로니다졸은 메스꺼움이나 쓴맛으로 인해 복용하는 내내 어려움을 겪거나 중도탈락자가 적지 않은 단점이 있는데, 이 연구는 처음으로 테트라사이클린을 이용한 2제 약제로 BQT보다 부작용이 적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테트라사이클린은 내성이 매우 낮아 새로운 1차 약제로 훌륭한 약제라고 할수 있다[8].

PCAB와 테트라사이클린 2제 요법은 페니실린 알러지 환자에게 효과적이고 안전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초치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BQT에 비해 효능과 안전성 면에서 유리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보노프라잔으로 수행된 연구이고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들이 보노프라잔이라, 국내에서의 연구도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겠다.

Notes

Availability of Data and Material

Data sharing not applicable to this article as no datasets were generated or analyzed during the study.

Conflicts of Interest

Younghee Choe, a contributing editor of the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was not involved in the editorial evaluation or decision to publish this article.

Funding Statement

None

Acknowledgements

None

References

1. Gao W, Liu J, Wang X, et al. Simplified Helicobacter pylori therapy for patients with penicillin allerg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vonoprazan-tetracycline dual therapy. Gut 2024;73:1414–1420.
2. Graham DY, Liou JM. Primer for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Helicobacter pylori therapy using antimicrobial stewardship.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22;20:973–983.e1.
3. Qian HS, Li WJ, Dang YN, et al. Ten-day vonoprazan-amoxicillin dual therapy as a first-lin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compared with bismuth-containing quadruple therapy. Am J Gastroenterol 2023;118:627–634.
4. Yan TL, Wang JH, He XJ, et al. Ten-day vonoprazan-amoxicillin dual therapy vs standard 14-day bismuth-based quadruple therapy for first-lin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Am J Gastroenterol 2024;119:655–661.
5. Kong Q, Mirza IA, Zhang X, et al. Fourteen-day tegoprazan-amoxicillin dual therapy as the first-lin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SHARE2301): a multicenter, noninferiority, randomized clinical trial. Helicobacter 2024;29e13098.
6. Chey WD, Howden CW, Moss SF, et al. ACG clinical guidelin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m J Gastroenterol 2024;119:1730–1753.
7. Kanu JE, Soldera J.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with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orld J Gastroenterol 2024;30:1213–1223.
8. Hong TC, El-Omar EM, Kuo YT, et al. Primary antibiotic resistance of Helicobacter pylori in the Asia-Pacific region between 1990 and 2022: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Gastroenterol Hepatol 2024;9:56–67.
9. Malfertheiner P, Megraud F, Rokkas T, et al. Ma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the Maastricht VI/Florence consensus report. Gut 2022;71:1724–176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omparison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rates of bismuth quadruple therapy and vonoprazan-tetracycline dual therapy

Analysis BQT group (n=150) VT-dual group (n=150) p-value for difference p-value for non-inferiority
ITT n=150, 89.3% (83.0%–93.6%) n=150, 92.0% (86.1%–95.6%) 0.56 <0.001
mITT n=144, 93.1% (87.3%–96.4%) n=146, 94.5% (89.1%–97.4%) 0.78 <0.001
PP n=131, 97.7% (92.9%–99.4%) n=142, 95.1% (89.7%–97.8%) 0.25 0.001

Values in parentheses are 95% confidential intervals.

BQT, bismuth quadruple therapy; VT, vonoprazan-tetracycline; ITT, intention-to-treat; mITT, modified intention-to-treat; PP, per-protocol.

Table 2.

Eradication regimens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recommended in recent guidelines

2022 Maastricht VI/Florence [9] 2024 ACG [6]
Treatment naïve
 Recommend BQT for 14 days Optimized BQT for 14 days
 Alternative Concomitant for 14 days Rifabutin triple therapy
Clarithromycin triple for 14 days PCAB-amoxicillin dual
PCAB-clarithromycin triple
Treatment-experienced
BQT for 14 days Optimized BQT
Quinolone/rifabutincontaing quaduple (or triple) Rifabutin/levofloxacin triple
PPI-amoxicillin dual Vonoprazan triple
Penicillin allergy
 Recommend BQT Optimized BQT
 Alternative Quinolone containing regimen

BQT, bismuth quadruple therapy; PCAB,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PPI, proton pump inhib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