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Search

CLOSE


Author’s checklist

  • HOME
  • FOR AUTHORS
  • Author’s checklist

다음은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에서 논문 접수부터 게재까지의 심사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많은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각 항목이 충실히 지켜졌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시고 온라인 논문투고 진행과정에서 직접 체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원 저

  • ☐ 원고를 A4 용지에 10 포인트 활자, 2열 간격(double spacing)으로 하였는지?
  • ☐ 원고의 하단 중앙에 페이지를 일련번호로 삽입하였는지?
  • ☐ 투고규정 내 윤리규정을 확인하였는지?
  • ☐ 영문 약어는 “영문 약어 목록”을 참고하여 기술하였는지?
  • ☐ 그 외의 영문 약어는 3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첫 번째 사용 시 괄호 안에 표기한 후 사용하였는지?

1. 표지

  • ☐ 표지에 논문제목, 저자(소속, 성명), 간추린 제목, 연락처(교신저자, 성명, 주소, 전화, 팩스번호, 이메일)를 순서대로 국문 및 영문으로 기재하였는지?
  • ☐ 영문제목은 12단어를 넘는 경우 12단어 이내의 간추린 제목을 표기하였는지?
  • ☐ 연구비 지원이나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이를 밝혔는지?
  • ☐ 영문제목에서 명사와 형용사는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Prognostic factors of ulcer bleeding (×)
    Prognostic Factors of Ulcer Bleeding (○)
  • ☐ 저자의 이름은 last name이 맨 뒤에 위치하였는지?
    예) 홍길동: Hong Kil Dong (×)
    Kil-dong Hong (×)
    Kil Dong Hong (○)
  • □ 저자와 저자 사이는 콤마(,)로 표기하였는지?
  • □ 대학명은 공식 영문명을 사용하였는지?
    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College (×)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 여러 과가 참여한 경우에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내과학교실1, 방사선학교실2, 병리학교실3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1, Department of Radiology2, Department of Pathology3 (×)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1, Radiology2, and Pathology3 (○)

2. 영문초록

  • ☐ Background/Aims,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Conclusions로 구분하여 줄을 바꾸고 기술하였는지?
  • ☐ 250단어 이내로 작성하였는지?
  • ☐ Key Words는 5단어 이내로 세미콜론으로 구분하고,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3.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 □ 국문으로 표기 가능한 용어를 불필요하게 영문으로 표기하지 않았는지?
  • □ 참고문헌의 인용번호는 일련 번호순으로 붙였는지?
  • □ 참고문헌이 본문에서 인용되지 않고 번호만 붙어있지는 않은지?
  • □ 참고문헌의 어깨번호를 아래와 같이 붙였는지?
    예) 알려져 있다10-13). (×)
    알려져 있다.10,11,12,13 (×)
    알려져 있다.10-13 (○)
  • ☐ 띄어쓰기가 아래와 같이 되었는지?
    예) Meyer18등은 (×)
    Meyer 등18은 (○)
  • ☐ 국문 단어와 괄호 사이에 불필요한 간격은 없는지?
    예) 시사하였다 (Fig. 3). (×)
    시사하였다(Fig. 3). (○)
    아포토시스 (apoptosis) (×)
    아포토시스(apoptosis) (○)
  • ☐ 영문 단어와 괄호 또는 숫자와 괄호 사이의 띄어쓰기는 적절한지?
    예) tumor necrosis factor(TNF) (×)
    tumor necrosis factor (TNF) (○)
    8 patients(16%) (×)
    8 patients (16%) (○)
    11/20(55.0%) (×)
    11/20 (55.0%) (○)
  • ☐ 수치와 단위 사이의 띄어쓰기는 적절한지?
    예) 아밀라제 99U/dL (×)
    아밀라제 99 U/dL (○)
    AST 125IU/L (×)
    AST 125 IU/L (○)
    9.2mg/dL (×)
    9.2 mg/dL (○)
    170cm (×)
    170 cm (○)
  • □ 수치와 % 및 oC 사이에 불필요한 간격은 없는지?
    예) 78 % (×)
    78% (○)
    39 oC (×)
    39oC (○)
  • □ 문장 속의 일련번호를 아래와 같이 붙였는지?
    예) 1. 방법
    1) 혈청학적 검사
    (1) 효소면역측정법
  • □ 세균명, 바이러스명 등 학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였는지?
    예) Helicobacter pylori (×) Helicobacter pylori (○)
  • P value는 이탤릭체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p (×) P (○)
  • □ “방법”을 소제목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는지?
  • □ “결과”를 소제목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는지?
  • □ “고찰”에 본 연구와 무관한 교과서식 사실들을 나열하지 않았는지?

4. 참고문헌

  • □ 국내 문헌을 포함한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 기술을 원칙으로 하며, 공저일 경우 6인 이하면 전원을 기록하고 7인 이상인 경우는 최초 3인 이후에 et al.로 끝을 맺었는지?
    예) 1. Meyer JH, Kirkman S, et al. (×)
    1. Meyer JH, Gueller R, Kirkman S et al. (×)
    1. Meyer JH, Gueller R, Kirkman S, et al. (○)
  • □ 해외 문헌의 경우 저자의 last name이 앞에 위치하는지?
    예) Kelly A Allan, MD (×)
    Allan KA (○)
    Pei Pei Cheng (×)
    Cheng PP (○)
  • □ 공저자 이름 전후는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1. Meyer JH, Gueller R, Kirkman S, et al: Technical factors ... (×)
    1. Meyer JH, Gueller R, Kirkman S, et al. Technical factors ... (○)
  • □ 똑같은 참고문헌이 각기 다른 번호로 인용되어 있지 않은지?
  • □ 인용된 학술지는 공인된 약자를 사용하였는지?
    예) Gastroenterol (×)
    Gastroenterology (○)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
    Cell Growth Differ (○)
  • □ 참고문헌 학술지의 연도와 volume 및 쪽수를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Prognosis of peptic ulcers. Gut 1987;325:103. (×)
    Prognosis of peptic ulcers. Gut 325:103-106, 1987. (×)
    Prognosis of peptic ulcers. Gut 1987;325:103-106. (○)
  • □ 초록(abstract)이나 추가발간(supplement), 온라인 저널 및 미발간 저널 인용 시 PubMed 양식에 따라 표기하였는지?
  • □ 인용한 논문은 제목의 가장 첫 단어만을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Meltzer R. Oncogene Abnormality in Colon Cancer. Gut 1987;30:23-30. (×)
    Meltzer R. Oncogene abnormality in colon cancer. Gut 1987;30:23-30. (○)
  • □ 단행본을 인용한 경우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Fleming SL. Helicobacter pylori. New York: Chelsea House, 2007. (×)
    Fleming SL. Helicobacter pylori. 2nd ed. Chelsea House; New York 2007. (×)
    Fleming SL. Helicobacter pylori. 2nd ed. New York: Chelsea House, 2007:1-5. (×)
    Fleming SL. Helicobacter pylori. 2nd ed. New York: Chelsea House, 2007. (○)
  • □ 단행본에 기재된 문헌을 다시 인용한 경우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5. Malaty HM. Epidemiolog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Sutton P, Mitchell HM, eds. Helicobacter pylori in the 21st century. Oxfordshire: CAB International, 2010:1-12. (×)
    5. Malaty HM. Epidemiolog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Sutton P, Mitchell HM, eds. Helicobacter pylori in the 21st century. 1st ed. Oxfordshire: CAB International, 2010. (×)
    5. Malaty HM. Epidemiolog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Sutton P, Mitchell HM, eds. Helicobacter pylori in the 21st century. 1st ed. Oxfordshire: CAB International, 2010:1-12. (○)
  • □ 영문 기술이 없는 국내 또는 국외 문헌을 영문으로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강현우, 강해연, 김상균 등. 십이지장 궤양으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를 제균 치료한 후 발생한 조기 위암 1예. 대한상부위장관ㆍ헬리코박터학회지2008;8:114-118.
    → Kang HW, Kang HY, Kim SG, et al. A early gastric cancer developing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due to duodenal ulcer.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08;8:114-118.

5. 그림 설명(Figure legends)

  • □ 그림 및 사진에 대한 각각의 설명 첫머리에 소제목을 달았는지?
  • □ 그림 및 사진 설명은 영문으로 구나 절이 아닌 문장형태로 별지에 작성하였는지?
  • □ 그림 및 사진 설명은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한 번호의 그림 설명 내에 2개 이상의 그림 및 사진이 있는 경우 (A), (B)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는지?
  • □ 사진이 조직소견인 경우 염색방법과 확대 배율을 표기하였는지?
    예) (H&E, 400×) (×)
    (H&E, ×400) (○)

6. 표(Table)

  • □ Table 밑에 기입되는 약자를 다음과 같이 표기하며 줄을 바꾸지 않고 연이어 기술하였는지?
    예) A: apical, C: cytoplasm, M: mucus. (×)
    A: apical
    C: cytoplasm
    M: mucus (×)
    A, apical; C, cytoplasm; M, mucus. (○)
  • □ Table에서 부가설명 표시를 사용할 때 순서와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하였는지?
    부가설명 표시 기호 순서: 알파벳 소문자 a, b, c, d…
    예) aRIBA positive, bRIBA indeterminate, cRIBA negative. (×)
    aRIBA positive.
    bRIBA indeterminate.
    cRIBA negative. (○)
  • □ Table 제목에서 명사와 형용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Comparison of the culture sensitivity (×)
    Comparison of The Culture Sensitivity (×)
    Comparison of the Culture Sensitivity (○)
  • □ Table 내에서는 첫 단어만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Number of Culture Positive (×)
    Number of culture positive (○)

7. 그림(Figure)

  • □ 그림 및 사진은 jpg, jpeg, gif 형식인지?
  • □ 컬러 이미지는 최소 300 dpi 이상이어야 하며 방사선 사진과 같은 흑백 이미지는 최소 600 dpi 이상의 해상도인지?

증 례

  • □ 원고를 A4 용지에 10 포인트 활자, 2열 간격(double spacing)으로 하였는지?
  • □ 원고의 하단 중앙에 페이지를 일련번호로 삽입하였는지?
  • □ 투고규정 내 윤리규정을 확인하였는지?
  • □ 영문 약어는 “영문 약어 목록”을 참고하여 기술하였는지?
  • □ 그 외의 영문 약어는 3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첫 번째 사용 시 괄호 안에 표기한 후 사용하였는지?

1. 표지

  • □ 표지에 논문제목, 저자(소속, 성명), 간추린 제목, 연락처(교신저자, 성명, 주소, 전화, 팩스번호, 이메일)를 순서대로 국문 및 영문으로 기재하였는지?
  • □ 영문제목은 12단어를 넘는 경우 12단어 이내의 간추린 제목을 표기하였는지?
  • □ 연구비 지원이나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이를 밝혔는지?
  • □ 영문제목에서 명사와 형용사는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Prognostic factors of ulcer bleeding (×)
    Prognostic Factors of Ulcer Bleeding (○)
  • ☐ 저자의 이름은 last name이 맨 뒤에 위치하였는지?
    예) 홍길동: Hong Kil Dong (×)
    Kil-dong Hong (×)
    Kil Dong Hong (○)
  • □ 저자와 저자 사이는 콤마(,)로 표기하였는지?
  • □ 대학명은 공식 영문명을 사용하였는지?
    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College (×)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 여러 과가 참여한 경우에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내과학교실1, 방사선학교실2, 병리학교실3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1, Department of Radiology2, Department of Pathology3 (×)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1, Radiology2, and Pathology3 (○)

2. 영문초록

  • □ 200단어 이내로 작성하였는지?
  • □ Key Words는 5단어 이내로 세미콜론으로 구분하고,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3. 서론, 증례, 고찰

  • □ 증례는 아래와 같이 서술형으로 기술하였는지?
    예) 환자: 김○환. 남자 56세
    주소: 심와부 동통
    현병력: 내원 1일 전...... (×)
    16세 여자가 내원 10일 전부터 있어온 복부 팽만감으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3년 전 복통으로
    소아과에 입원하여...... (○)
  • □ 국문으로 표기 가능한 용어를 불필요하게 영문으로 표기하지 않았는지?
  • □ 참고문헌의 인용번호는 일련 번호순으로 붙였는지?
  • □ 참고문헌이 본문에서 인용되지 않고 번호만 붙어있지는 않은지?
  • □ 참고문헌의 어깨번호를 아래와 같이 붙였는지?
    예) 알려져 있다10-13). (×)
    알려져 있다.10,11,12,13 (×)
    알려져 있다.10-13 (○)
  • □ 띄어쓰기가 아래와 같이 되었는지?
    예) Meyer18등은 (×)
    Meyer 등18은 (○)
  • □ 국문 단어와 괄호 사이에 불필요한 간격은 없는지?
    예) 시사하였다 (Fig. 3). (×)
    시사하였다(Fig. 3). (○)
    아포토시스 (apoptosis) (×)
    아포토시스(apoptosis) (○)
  • □ 영문 단어와 괄호 또는 숫자와 괄호 사이의 띄어쓰기는 적절한지?
    예) tumor necrosis factor(TNF) (×)
    tumor necrosis factor (TNF) (○)
    8 patients(16%) (×)
    8 patients (16%) (○)
    11/20(55.0%) (×)
    11/20 (55.0%) (○)
  • □ 수치와 단위 사이의 띄어쓰기는 적절한지?
    예) 아밀라제 99U/dL (×)
    아밀라제 99 U/dL (○)
    AST 125IU/L (×)
    AST 125 IU/L (○)
    9.2mg/dL (×)
    9.2 mg/dL (○)
    170cm (×)
    170 cm (○)
  • □ 수치와 % 및 oC 사이에 불필요한 간격은 없는지?
    예) 78 % (×)
    78% (○)
    39 oC (×)
    39oC (○)
  • □ 세균명, 바이러스명 등 학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였는지?
    예) Helicobacter pylori (×)
    Helicobacter pylori (○)
  • P value는 이탤릭체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p (×)
    P (○)
  • □ “고찰”에 본 증례와 무관한 교과서식 사실들을 나열하지 않았는지?

4. 참고문헌

  • □ 20개 이내로 인용하였는지?
  • □ 국내 문헌을 포함한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 기술을 원칙으로 하며, 공저일 경우 6인 이하면 전원을 기록하고 7인 이상인 경우는 최초 3인 이후에 et al.로 끝을 맺었는지?
    예) 1. Meyer JH, Kirkman S, et al. (×)
    1. Meyer JH, Gueller R, Kirkman S et al. (×)
    1. Meyer JH, Gueller R, Kirkman S, et al. (○)
  • □ 해외 문헌의 경우 저자의 last name이 앞에 위치하는지?
    예) Kelly A Allan, MD (×)
    Allan KA (○)
    Pei Pei Cheng (×)
    Cheng PP (○)
  • □ 공저자 이름 전후는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1. Meyer JH, Gueller R, Kirkman S, et al: Technical factors ... (×)
    1. Meyer JH, Gueller R, Kirkman S, et al. Technical factors ... (○)
  • □ 똑같은 참고문헌이 각기 다른 번호로 인용되어 있지 않은지?
  • □ 인용된 학술지는 공인된 약자를 사용하였는지?
    예) Gastroenterol (×)
    Gastroenterology (○)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
    Cell Growth Differ (○)
  • □ 참고문헌 학술지의 연도와 volume 및 쪽수를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Prognosis of peptic ulcers. Gut 1987;325:103. (×)
    Prognosis of peptic ulcers. Gut 325:103-106, 1987. (×)
    Prognosis of peptic ulcers. Gut 1987;325:103-106. (○)
  • □ 초록(abstract)이나 추가발간(supplement), 온라인 저널 및 미발간 저널 인용 시 PubMed 양식에 따라 표기하였는지?
  • □ 인용한 논문은 제목의 가장 첫 단어만을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Meltzer R. Oncogene Abnormality in Colon Cancer. Gut 1987;30:23-30. (×)
    Meltzer R. Oncogene abnormality in colon cancer. Gut 1987;30:23-30. (○)
  • □ 단행본을 인용한 경우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Fleming SL. Helicobacter pylori. New York: Chelsea House, 2007. (×)
    Fleming SL. Helicobacter pylori. 2nd ed. Chelsea House; New York 2007. (×)
    Fleming SL. Helicobacter pylori. 2nd ed. New York: Chelsea House, 2007:1-5. (×)
    Fleming SL. Helicobacter pylori. 2nd ed. New York: Chelsea House, 2007. (○)
  • □ 단행본에 기재된 문헌을 다시 인용한 경우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5. Malaty HM. Epidemiolog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Sutton P, Mitchell HM, eds. Helicobacter pylori in the 21st century. Oxfordshire: CAB International, 2010:1-12. (×)
    5. Malaty HM. Epidemiolog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Sutton P, Mitchell HM, eds. Helicobacter pylori in the 21st century. 1st ed. Oxfordshire: CAB International, 2010. (×)
    5. Malaty HM. Epidemiolog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Sutton P, Mitchell HM, eds. Helicobacter pylori in the 21st century. 1st ed. Oxfordshire: CAB International, 2010:1-12. (○)
  • □ 영문 기술이 없는 국내 또는 국외 문헌을 영문으로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는지?
    예) 강현우, 강해연, 김상균 등. 십이지장 궤양으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를 제균 치료한 후 발생한 조기 위암 1예. 대한상부위장관ㆍ헬리코박터학회지2008;8:114-118.
    → Kang HW, Kang HY, Kim SG, et al. A early gastric cancer developing after Helicobacter pylori pylori eradication due to duodenal ulcer.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08;8:114-118.

5. 그림 설명(Figure legends)

  • □ 그림 및 사진에 대한 각각의 설명 첫머리에 소제목을 달았는지?
  • □ 그림 및 사진 설명은 영문으로 구나 절이 아닌 문장형태로 별지에 작성하였는지?
  • □ 그림 및 사진 설명은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한 번호의 그림 설명 내에 2개 이상의 그림 및 사진이 있는 경우 (A), (B)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는지?
  • □ 사진이 조직소견인 경우 염색방법과 확대 배율을 표기하였는지?
    예) (H&E, 400×) (×)
    (H&E, ×400) (○)

6. 표(Table)

  • □ Table 밑에 기입되는 약자를 다음과 같이 표기하며 줄을 바꾸지 않고 연이어 기술하였는지?
    예) A: apical, C: cytoplasm, M: mucus. (×)
    A: apical
    C: cytoplasm
    M: mucus (×)
    A, apical; C, cytoplasm; M, mucus. (○)
  • □ Table에서 부가설명 표시를 사용할 때 순서와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하였는지?
    부가설명 표시 기호 순서: 알파벳 소문자 a, b, c, d…
    예) aRIBA positive, bRIBA indeterminate, cRIBA negative. (×)
    aRIBA positive.
    bRIBA indeterminate.
    cRIBA negative. (○)
  • □ Table 제목에서 명사와 형용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Comparison of the culture sensitivity (×)
    Comparison of The Culture Sensitivity (×)
    Comparison of the Culture Sensitivity (○)
  • □ Table 내에서는 첫 단어만 대문자로 표기하였는지?
    예) Number of Culture Positive (×)
    Number of culture positive (○)

7. 그림(Figure)

  • □ 그림 및 사진은 jpg, jpeg, gif 형식인지?
  • □ 컬러 이미지는 최소 300 dpi 이상이어야 하며 방사선 사진과 같은 흑백 이미지는 최소 600 dpi 이상의 해상도인지?
  •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1; 10.7704/kjhugr.2021.0043
  •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DOAJ)
  • KCI
  • KoreaMed
  • KoMCI
  • GoogleScholar
  • ScienceCentral
  • Similarity Check
  • Crossref Cited-by Linking
  • CrossMark
  • Funder Registry
  • ORCID


Editorial Office
Lotte Gold Rose II Room 917, 31 Seolleung-ro 86-gil, Gangnam-gu, Seoul 06193, Korea
Tel: +82-2-717-5543    Fax: +82-2-565-9947    E-mail: helicojournal@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